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부 메뉴 바로가기
  • 정보공개

  • 국민참여

  • 사업

  • 알림

  • 공사

통합검색
국문 > 알림 > 청사초롱 > 최신호

최신호


2019.3,4vol.500

대한민국의 구석구석 청사초롱이 밝혀드립니다
한국관광공사에서 발행되는 월간지 청사초롱은 한국관광산업의 현황과 여행정보 및 관광공사, 지자체, 업계등의 소식을 전합니다.
발행호 493 호

2018.06.08

바람이 불어오는 땅 그 길목에 서다 ②평화를 되새기는 땅, 철원

지뢰 주의 철조망



평화를 되새기는 땅, 철원


철원에 서면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너른 평야에 마음이 느슨해진다. 대북확성기가 사라진 하늘에는 새소리, 바람소리 같은 자연의 소리가 돌아왔다. 땅도 하늘도, 분단의 현실을 잊을 만큼 평온하고 차분한 분위기다.

지금의 이런 모습과 달리 철원은 6·25전쟁 최대의 격전지였다. 그래서 곳곳에 전쟁의 상흔이 깊게 남아 있다. 특히 백마고지는 남북이 가장 뜨겁게 총구를 겨눴던 장소다. 열흘 동안 12번의 전투가 펼쳐졌고, 무려 27만발의 포탄이 고지에 쏟아졌다. 포격을 심하게 받은 산등성이는 하얗게 벗겨져 마치 백마가 누운 형상이 됐다고 한다. 백마고지는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


철원 백마고지 풍경

너른 평야 위로 솟아 있는 백마고지. 6·25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처절했던 상황은 백마고지 전적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새하얀 말 동상을 지나 태극기가 걸린 자작나무 길을 오르면 전승 기념비와 위령탑, 기념관 등을 만난다. 역사적 엄숙함에 마음이 숙연해진다. 평화의 종이 매달린 상승각 너머로는 백마고지가 보인다. 밋밋한 평야 위로 불쑥 솟아 있는 모습에서 비장하고 처연함이 느껴진다.


백마고지 전적지 위령비

백마고지 전적지 기념관 내부

백마고지 전적지 입구 백마 조형물

백마고지 전적지



철원은 해방 이후 북한 관할 구역이었다. 6·25전쟁으로 휴전선이 생기면서 땅이 두 동강 났고, 그중 3분의 2가 남한으로 편입됐다.

노동당사는 1946년 철원이 북한에 속해 있을 때 지어진 건물이다. 6·25 전까지 북한의 조선노동당 철원 당사로 이용됐다. 전쟁 당시 폭격으로 대부분 무너지고 지금은 벽체만 앙상하게 남았다. 그나마 1층은 방의 구조를 엿볼 수 있지만, 2층과 3층은 처참하게 내려앉아 형태를 파악하기 힘들다. 외벽엔 깊게 팬 총탄 자국이 수두룩하다. 건물 앞 중앙계단에는 미군 탱크가 밀고 올라간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철원 노동당사 외관 전경

벽체만 남은 노동당사와 그 틈에서 자라는 작은 풀 하나

벽체만 남은 노동당사와 그 틈에서 자라는 작은 풀 하나



노동당사는 민통선 바깥에 있어 특별한 절차 없이도 갈 수 있다. 매주 토요일에는 건물 앞마당에서 직거래장도 열린다. 철원군 관내 농가에서 생산한 제철 농·특산물과 가공식품, 수공예품 등을 구매할 수 있다.



기차는 달린다, 언젠가 길은 이어지니까


철원에는 우리나라 최북단역이 있다. 경원선의 종착역이자 출발역인 백마고지역이다. 경원선은 원래 백마고지역을 지나 철원역, 월정리역, 그리고 지금은 북한 땅에 속한 강원도 원산까지 이어진 철로였다. 하지만 남북 분단과 함께 길이 끊겼고, 북으로 달리던 열차도 운행을 멈췄다.

현재 백마고지역까지는 서울역에서 출발한 DMZ트레인과 경기 동두천역에서 출발한 경원선 통근열차가 다니고 있다. 북쪽으로 놓인 철로는 승강장을 벗어나자마자 허리가 잘렸다. 옆에는 철도종단점을 알리는 표지판과 북녘하늘 우체통이 세워졌다. 우체통은 2014년 경원선 건설 10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졌다. 실향민들이 북에 두고 온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가 모이는 곳으로, 실제 북으로 편지가 전해지지는 않는다.


백마고지역 철도중단점(철마는 달리고 싶다)

백마고지역 철도중단점 뒤로 끊어진 철길이 보인다


북녘하늘 우체통

북녘하늘 우체통



철원역과 월정리역은 6·25전쟁 때 소실됐다. 철원역은 한때 서울역보다 많은 역무원이 근무한다는 말이 떠돌 정도로 규모가 컸다고 전해진다. 지금은 일부 철로와 녹슨 신호기만 남아 자리를 지킨다.

철원역은 금강산 관광을 목적으로 부설된 금강산선(금강산 전기철도)의 시발지이기도 하다. 금강산선은 철원과 내금강 사이 116.6km를 잇는 우리나라 최초의 관광용 전기철도였다. 6·25전쟁 이후 군사분계선이 설치되면서 운행이 중단됐다. 민통선 안쪽 한탄강 상류 부근에 열차가 지나던 교량이 남아 있다. 화강암으로 쌓아올린 하부에 최근 상판을 복원했다. 다리에 적힌 ‘끊어진 철길! 금강산 90키로’라는 글귀가 애잔하다. 한국 근현대사 모습을 간직한 구조물로 인정받아 2004년 9월 등록문화재 제112호에 지정됐다.

경원선의 간이역이었던 월정리역은 현재 남방한계선 바로 앞에 있다. 원래 DMZ 안쪽에 있던 것을 1988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와 복원했다. 역사(驛舍) 앞에는 6·25전쟁 당시 폭격을 맞고 종잇장처럼 구겨진 기차가 녹슨채로 전시돼 있다.



금강산으로 향하는 전기철도가 달리던 교량

금강산으로 향하는 전기철도가 달리던 교량


월정리역 철길

녹슬고 부러진 모습 그대로 전시되어 있는 철길

복원된 월정리역에 전시된 녹슨 기차와 전쟁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들꽃







철원 DMZ 평화관광



철원의 DMZ관광은 크게 버스와 기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뉜다. 고석정 또는 백마고지역 앞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하는 관광셔틀버스와 DMZ트레인(경원선)이 그것이다. 관광셔틀버스는 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정해진 시간에 고석정 또는 백마고지역에서 출발한다. DMZ트레인은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특별열차다. 왕복 열차편에 관광 일정, 점심 식사가 포함된 패키지 상품으로 생각하면 된다. 우리나라 최북단역인 백마고지역에서 내려 관광버스로 갈아타고 철원의 핵심 안보관광지를 둘러본다. 출발역(서울역·청량리역·의정부역·동두천역·소요산역)에 따라 상품 가격이 다르다.

동두천역과 백마고지역 사이를 운행하는 통근열차를 타고 철원 여행에 나서는 방법도 있다. 통근열차는 열차 등급 중 최하위 등급인 보통열차에 속한 완행열차다. 동두천역에서 1시간 남짓 달려 백마고지역에 닿는다. 역에 도착하면 관광셔틀버스 표를 별도로 끊어 여행에 나서야 한다.


관광셔틀버스


평화전망대 앞에 전시된 탱크

평화전망대 전시관


코스 : 고석정(백마고지역)→제2땅굴→평화전망대→두루미관·월정리역→고석정(백마고지역)

고석정 출발 : 9시 30분, 10시 30분, 13시, 14시 30분(1일 4회)

백마고지역 출발 : 10시 30분, 14시(1일 2회) ※매주 화요일 휴무

이용요금 : 어른 1만4000원, 어린이 9000원(관광지 입장료 포함)

문의 : 고석정 출발 코스 033-450-5559, 백마고지역 출발 코스 033-450-5683



DMZ트레인


DMZ트레인 외관

알록달록 꾸며놓은 DMZ트레인 내부


코스 : 서울역(청량리역·의정부역·동두천역·소요산역)→백마고지역→두루미 마을(중식)→백마고지 전적지→노동당사→멸공OP→금강산 전기철도 교량→두루미관·월정리역→백마고지역→서울역(청량리역·의정부역·동두천역·소요산역)

이용 요금 : 어른 1인 기준 3만8800원~4만5000원 ※출발역에 따라 이용 요금에 차이가 있다

문의 : 코레일 청량리역 여행센터 02-913-1788



경원선 통근열차


동두천과 백마고지를 오가는 경원선 통근열차

연천역 급수탑


코스 : 동두천역→소요산역→초성리역→한탄강역→전곡역→연천역→신망리역→대광리역→신탄리역→백마고지역

※백마고지역 하차 후 관광셔틀버스 별도 이용. 화요일을 제외한 매일 10시 30분, 14시 출발

이용 요금 : 1회 편도 어른 1000원, 어린이 500원

문의 : 1588-7788

의견쓰기
0 / 1000 byte
등록
목록
  • 담당자 : 양숙희(홍보팀)
  • 전화 : 033-738-3054
  • 팩스 : 033-738-3881

관련콘텐츠

한국관광공사
26464 강원도 원주시 세계로 10 TEL : (033)738-3000 사업자등록번호 : 202-81-50707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09-서울중구-1234호
Copyright © KTO. ALL RIGHT RESERVED.
가족친화 우수기업3.0 공공문화정보 우수개방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2.10.28 ~ 2023.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