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오디(Odii) 홍보·마케팅 및 콘텐츠 확충 용역 과업내용서 |
(2021.11.08, 국내디지털마케팅팀)
1. 과업개요
□ 추진배경
❍ 국내외 오디오 콘텐츠 수요 증가
* 전세계 오디오 콘텐츠 시장 성장 예측(골드만삭스) : 2019년 220억 달러(28조 8,600억원) → 2030년 753억 달러(85조 890억원)
* 국내 오디오 콘텐츠 시장 성장 예측(그랜드뷰리서치) : 2021년 300억원 → 2024년 1,080억원
□ 목 적
❍ 관광자원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고 생생하게 들려주는 맞춤형 관광안내 해설 서비스 제공으로 관광안내 서비스 불편 해소 및 여행 만족도 제고
❍ 양질의 오디오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국민, 지자체, 유관기관, 민간기업 등 여러 주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ㆍ마케팅 실시
❍ 공사가 직접 제작 또는 지자체, 유관기관, 민간기업 등 여러 주체와 제휴ㆍ협업을 통해 다양하고 활용도가 높은 오디오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및 확충
□ 내 용
❍ 오디 서비스 및 콘텐츠 홍보ㆍ마케팅
- 단ㆍ중ㆍ장기 단계별 오디 홍보ㆍ마케팅 전략 수립
- 온ㆍ오프라인 홍보 이벤트 기획 및 진행으로 오디 서비스 활성화 추진
- 콘텐츠 제휴기관과 공동으로 홍보ㆍ마케팅 협업 수행
- 오디 서비스 홍보를 위한 다양한 광고 전략수립 및 기획, 수행 및 관리
- 오디 서비스 홍보물 제작(콘텐츠 QR코드 활용 등) 및 배포, 사후관리
❍ 신규 콘텐츠 제작 및 기존 콘텐츠 현행화
- 콘텐츠 제작 관련 중ㆍ장기적 전략 및 계획 수립
- 신규 콘텐츠 기획, 취재 및 제작 진행
- 기존 콘텐츠의 정보오류 및 노후화 방지를 위한 현행화 실시
- 기존 한국어 콘텐츠의 외국어(영ㆍ중ㆍ일) 번역 확대
- 1 -
❍ 콘텐츠 제휴 및 개발지원
- 오디 서비스 소개 및 콘텐츠 제작 제휴 관련 전반의 업무 수행
- 콘텐츠 제휴 가능 지자체, 유관기관, 협력업체 등 발굴 및 제휴 추진
- 콘텐츠 제작 자문 및 가이드 제공으로 제휴 콘텐츠의 품질 관리 및 제고
- 참여기관의 콘텐츠 제작 시 외국어 번역, 감수, 오디오 녹음 등 제작지원
❍ 콘텐츠 운영 및 관리
-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을 통한 콘텐츠 등록, 노출여부 설정 등 관리
- 정기적인 콘텐츠 큐레이션 변경 등을 통한 서비스 제고 및 활성화
- 기존 콘텐츠의 정보오류 및 노후화 등 콘텐츠 품질 상시점검
❍ 사업 관리
- 콘텐츠 관리 현황 정기보고 및 산출물 관리
- 콘텐츠 이용실적 통계데이터 분석 및 보고
- 홍보ㆍ마케팅 효과 분석 및 보고
2. 오디(Odii) 서비스 현황
□ 서비스 개요
비전 |
멀티미디어 기반의 스토리텔링 관광안내서비스 제공으로 여행 경험의 질 향상 |
||||||||||||||
|
|||||||||||||||
전략 방향 |
1. 재미있고 생생한 관광 콘텐츠 확보 2. 개방 ㆍ 협력형 관광서비스 생태계 구축 |
||||||||||||||
추진 전략 |
디지털 스토리텔링 오디오 관광 콘텐츠 DB 구축 |
디지털 관광 스토리텔링 협력 체계 마련 |
관광 콘텐츠 DB 개방을 통한 융ㆍ복합 서비스 발굴 |
||||||||||||
추진 과제 |
신규 콘텐츠 생성 외부 콘텐츠 수급 |
지자체, RTO 공사 유관부서 |
유관기관(코레일 등) 민간협업(윌라 등 ) |
❍ 서비스명 : 오디(Odii)
※ 당초 ‘스마트투어가이드’라는 명칭으로 서비스, 2018년에 ‘오디’로 명칭 변경
- 2 -
❍ 사업기간 : 2012년 ∼ 현재 ※ 현재 운영 중인 통합 앱은 ’13년 12월에 서비스 시작
❍ 국내·외 관광객에게 유명 관광지의 역사와 문화를 오디오로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모바일 웹ㆍ앱 서비스로 4개 언어(한·영·중·일)로 운영
❍ 공유기반으로 여러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 제공 가능
※ 한국관광공사(공유플랫폼 개발‧운영‧홍보) + 참여기관(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수급)
□ 주요기능
❍ 오디오 가이드 : 관광지의 역사와 문화, 숨겨진 이야기 제공
- 기본 플레이어 및 미니 플레이어, 오디오 다운로드 및 보관 등의 기능 제공
❍ 사진 : 관광지에 방문하지 않아도 현장의 모습을 사진으로 볼 수 있음
❍ 대본 : 오디오로 제공하는 내용을 텍스트로도 제공
❍ 지도 : 주변에 오디 서비스 중인 관광지를 검색하거나 목적지에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현재 위치와 관광지(이야기)의 위치를 제공(위치기반)
❍ 공유 : 관광지 이야기를 SNS나 메신저를 통해 친구들과 공유 가능
❍ 위젯 : 웹사이트나 모바일에서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관광지별 위젯 소스 제공
❍ 도보코스 서비스 : 관광객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관광지에서 손쉽게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코스형 해설 및 안내 제공(위치기반)
❍ 관광택시 서비스 : 관광택시 승객이 선택한 관광지의 해설 및 안내 제공
- 관광택시 운행 중 선택 관광지 인근의 관광지 해설 자동 재생(위치기반)
□ 주요실적 (최근 5개년)
구 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10월) |
사용자 수 |
222,095 |
182,000 |
200,515 |
131,183 |
89,468 |
149,179 |
이야기 재생 수 |
- |
- |
- |
84,136 |
85,717 |
153,399 |
앱 다운로드 수 |
547,046 |
327,520 |
78,727 |
30,190 |
18,985 |
20,196 |
□ 콘텐츠 주요 체계 및 구성
[메인 화면] |
메인 관광지 |
도보코스 여행 |
지역별 여행 |
새로운 이야기 |
테마별 여행 |
|
[관광지 화면] |
관광지 사진 |
이야기 목록 |
||||
[이아기 화면] |
이야기 사진 |
해시태그(#) |
대본 텍스트 |
오디오 재생 |
재생목록 추가/다운로드 |
* 콘텐츠의 서비스 구성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선 및 변경 가능
- 3 -
❍ 콘텐츠의 가장 기본 단위는 ‘이야기’이며, 그 상위 그룹으로 ‘관광지’로 분류
❍ 각 콘텐츠(이야기)는 기본적으로 사진, 대본 그리고 오디오로 구성
❍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도보코스 여행’, ‘지역별 여행’, ‘테마별 여행’ 등으로 카테고리화하여 서비스 제공
□ 콘텐츠 개방 및 확대
❍ 정부 공공데이터 사이트(www.data.go.kr) 내 콘텐츠 개방 * 공공누리 제1유형
- 관광스토리텔링 대본 전체 및 저작권 확보된 해설 오디오 대외 개방
❍ 한국문화정보원 공공누리(www.kogl.or.kr) 내 사진 콘텐츠 개방
- 오디 내 서비스 사진 일부 공개, 공유
❍ 대내외 협업을 통한 콘텐츠 확대
- 지자체, 유관기관 등 외부 기관 및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 또는 “주관기관” 이라 함) 내부 타 부서와의 협업
- 오디 콘텐츠 대외개방 확대를 통한 콘텐츠 활용성 확대 및 추가 수급 활성화
□ 콘텐츠 현황 (‘21년도 10월말 오디 CMS 기준)
구분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계 |
|||||
관광지 |
콘텐츠 |
관광지 |
콘텐츠 |
관광지 |
콘텐츠 |
관광지 |
콘텐츠 |
관광지 |
콘텐츠 |
|
강원 |
220 |
355 |
64 |
140 |
64 |
140 |
64 |
140 |
412 |
775 |
경기 |
26 |
240 |
14 |
175 |
8 |
115 |
8 |
115 |
56 |
645 |
경남 |
121 |
227 |
23 |
123 |
9 |
40 |
9 |
40 |
162 |
430 |
경북 |
162 |
345 |
54 |
197 |
40 |
108 |
51 |
173 |
307 |
823 |
광주 |
18 |
26 |
8 |
16 |
8 |
16 |
8 |
16 |
42 |
74 |
대구 |
53 |
97 |
6 |
45 |
6 |
45 |
6 |
45 |
71 |
232 |
대전 |
37 |
37 |
0 |
0 |
0 |
0 |
0 |
0 |
37 |
37 |
부산 |
72 |
167 |
3 |
5 |
3 |
5 |
3 |
5 |
81 |
182 |
서울 |
121 |
529 |
78 |
369 |
69 |
231 |
87 |
263 |
355 |
1,392 |
울산 |
44 |
66 |
25 |
31 |
25 |
31 |
25 |
31 |
119 |
159 |
인천 |
43 |
63 |
23 |
42 |
23 |
42 |
23 |
42 |
112 |
189 |
전남 |
192 |
316 |
45 |
109 |
32 |
96 |
32 |
96 |
301 |
617 |
전북 |
92 |
295 |
69 |
258 |
15 |
104 |
15 |
104 |
191 |
761 |
제주 |
121 |
149 |
48 |
64 |
48 |
64 |
48 |
64 |
265 |
341 |
충남 |
67 |
353 |
47 |
308 |
43 |
243 |
45 |
293 |
202 |
1197 |
충북 |
55 |
158 |
51 |
151 |
51 |
151 |
51 |
151 |
208 |
611 |
합 계 |
1,444 |
3,423 |
558 |
2,033 |
444 |
1,431 |
475 |
1,578 |
2,921 |
8,465 |
* 다수 관광지 공통 콘텐츠(5개) 지역별 중복 등재 |
- 4 -
□ 콘텐츠 제작 및 제휴수급 추진현황 (‘21년도 10월말 기준)
❍ 콘텐츠 공사 자체제작 및 대외기관 협업 제작 추진 (총 341건)
- 나주, 대구, 목포 도보코스 콘텐츠 161건 제작
- 곡성, 순천 관광택시 콘텐츠 96건 제작
- 대구 근대로 외국어 확장 콘텐츠 84건 제작
※ 연말까지 최소 1,259건 이상 추가 제작(진행 중)
❍ 유관기관과 제휴를 통한 콘텐츠 수급 (총 837건)
- 강원도 춘천시(224건), 속초시(200건), 양양군(180), 서울암사동유적(33건), 충남 당진시(28), 울산광역시 중구(15), 김제 아리랑 문학마을(12건), 환경보전협회(8건), 전남 장성군(9건), 열린관광지(23건), 대구 영남선비문화수련원(60건), 대구경북(2건), 충남 서천군(35건), 경기관광공사(고양, 김포)(8건)
※ 연말까지 최소 563건 이상 추가 수급(예정)
□ 서비스 홍보ㆍ마케팅 추진현황 (‘21년도 10월말 기준)
❍ 대내외 협력을 통한 공동 홍보ㆍ마케팅
- 유튜브 채널 ‘트러블러’ 협업을 통한 오디 앱 홍보 영상 제작 및 송출
|
- 민간 오디오북 ‘윌라’ 서비스와의 협업을 통한 오디 콘텐츠 확충 및 업로드
|
|
|
- 5 -
- 투어스태프의 투어지(Tourzy) 모빌리티 서비스와 연계하여 홍보 진행
* 오디 서비스 홍보용 QR코드 스티커 제작 및 연내 투어지 차량에 부착(예정)
|
|
❍ 온라인 홍보ㆍ마케팅 이벤트 실시
- 오디(Odii) 앱 내 이벤트 기능을 개선하여 오디 콘텐츠 이용을 유도하는 이벤트 추진
- 5월∼10월간 총 4회의 온라인 퀴즈 및 인증 이벤트 진행
|
|
|
❍ 오프라인 홍보ㆍ마케팅 행사 실시
- 오디(Odii)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오프라인 홍보 및 다운로드 인증 이벤트 추진
- 9월∼10월간 총 2회의 오프라인 홍보행사 진행 ※ 코로나19 이슈로 축소 진행
|
|
|
* 오프라인 홍보행사 실시장소 : 부산 벡스코, 경주 대릉원 및 동궁과 월지 등
- 6 -
❍ 홍보물 제작 및 배포, 사후관리
- 오디 소개 및 홍보 리플렛 현행화 및 신규제작 추진
|
|
3. 세부 과업내용
□ 홍보·마케팅 과업범위
❍ 홍보·마케팅 중ㆍ장기 전략 및 실행계획 수립
- 유사 서비스 및 최신 트렌드 등 환경분석을 통한 운영전략 및 홍보방향 설정
- 지자체 및 유관기관, 민간부문과의 제휴 및 협업 홍보·마케팅 전략 수립
* 시중 내비게이션 앱 또는 AI 스피커 서비스 연계 홍보·마케팅 등
❍ 홍보·마케팅 및 프로모션 행사 기획 및 수행
- 참여형 온·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총 20회 이상 진행
- 지역축제 및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행사 연계 홍보·마케팅, 프로모션 행사 기획
- 다양한 매체(SNS, 웹사이트, 앱마켓, 옥외 등)를 활용한 광고 기획 및 시행
* 광고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 집행하며, 본 계약 용역비와는 별도의 예산으로 진행
- 홍보·마케팅·광고 효과 및 실적관리
- 유관기관 및 이용자 간 콘텐츠 공유 활성화 방안(위젯, QR코드 활용 등) 제시
❍ 홍보물 및 기념품 제작, 배포 및 관리
- 서비스 소개 기본자료(리플렛) 및 특화 콘텐츠 홍보물(콘텐츠 지도 등) 기획, 디자인 및 제작(인쇄), 배포 등
* 기본자료(5,000부 이상) 외 도보코스 콘텐츠 등의 지역특화형 특별 안내자료(5,000부 이상)
- 7 -
- 이벤트, 프로모션 행사용 홍보물 및 기념품 기획 및 제작, 현황관리
- 관광지 또는 현장 안내판 등에 비치할 홍보물(QR코드 등) 제작, 배포 및 부착, 현황관리
- 기존의 부착 홍보물 상태 확인 및 교체작업(경주, 목포, 부산 등)
□ 콘텐츠 확대 과업범위
❍ 콘텐츠 제작 중ㆍ장기 전략 수립 및 기획
- 유사 서비스 및 최신 트렌드 등 환경분석을 통한 장기적인 콘텐츠 제작 및 수급의 방향 설정
- 사용자 분석(인구통계, 이용행태 등)을 통한 주요 타겟층 파악 및 맞춤형 콘텐츠 제작기획
❍ 신규 콘텐츠 제작 및 기존 콘텐츠 현행화
- 중ㆍ장기 콘텐츠 전략에 따른 신규 콘텐츠 기획, 제작(대본제작 및 번역, 감수, 오디오 녹음 등 전 과정) 후 업로드 총 1,600건(이야기 기준) 이상 진행
- 노후화된 기존 음성 콘텐츠의 현행화 작업 총 100건 이상 진행
- 기존 콘텐츠의 정보오류, 노후화 등 상시 모니터링 시행 및 품질관리
필요 시 콘텐츠(대본, 사진, 오디오, 위치정보) 내용의 변경사항 확인을 위한 현지답사 실시
- 대외 공공개방 가능 콘텐츠(공공누리 제1유형) 확충 및 현황관리
❍ 콘텐츠 제휴 및 수급
- 타 부서 및 기관이 제작한 콘텐츠의 수급 및 업로드 총 1,400건(이야기 기준) 이상 진행
-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제휴 및 협업을 통한 제작의 창의적 방안 제시
* 씨티투어, 관광택시, 박물관 및 미술관 도슨트, 어린이용 역사교실, 도보코스 UI 활용 콘텐츠, 백색소음 및 ASMR 테마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기획
- 타 기관의 다양한 콘텐츠가 오디 앱 내에 등재될 수 있도록 콘텐츠 제작지원 및 공동제작
- 오디 서비스 소개 및 콘텐츠 제작 가이드 제공 등 콘텐츠 제휴와 관련된 업무 지원
- 타 서비스와의 제휴를 통한 융ㆍ복합 서비스 제공 방안 발굴 및 도출
❍ 콘텐츠 운영 및 관리
- 계절별 시의성을 고려한 콘텐츠 큐레이션 변경으로 서비스 이용 활성화
- 콘텐츠의 유형분류, 제작과정(history), 저작권 및 공공누리 유형 관리
- 8 -
□ 사업관리 과업범위
❍ 착수보고, 중간보고(주간, 월간 등), 완료보고 등 사업진행과 관련한 정기 보고회(주요 운영 성과지표 및 실적 등)를 공사 본사(원주 소재)에서 개최
* 주요 성과지표 : 콘텐츠 제작 건 수, 사용자 수, 이야기 재생 수, 앱 다운로드 수 등
※ 공사 사정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등 기타 상황에 따라 보고회 장소를 변경하거나 서면 보고로 대체할 수 있음
❍ 동 서비스 관련 유사 서비스 및 최신 트렌드, 전월실적의 분석을 통한 전반적인 마케팅 인사이트 리포트 작성 및 제출(매월 초)
❍ 중간보고 과정에서 제시되는 의견을 반영하며, 조정 필요시 상호 협의하여 개선
❍ 완료보고는 사업완료 후 발주기관에서 지정한 장소에서 개최하며, 최종보고회 개최 7일 전에 완료보고 자료를 제출
❍ 콘텐츠 관리 담당 전담직원 1명 이상 배치
* 공사 본사(원주) 상주 근무 권장(상주 근무 시 근무 장소는 공사가 제공)
❍ 사용자 만족도 조사(1회 이상) 및 전문가 자문 진행을 통한 서비스 개선점 도출
❍ 서비스 관련 문의 및 VOC 등에 대한 신속한 답변 및 응대
❍ 앱 이용 관련 FAQ 작성 및 앱 이용안내 란에 게시, 현행화 등 관리
❍ 각종 서비스가이드 및 매뉴얼 자료, 인수인계서 작성 및 현행화
※ 세부 과업내용은 추후 합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목표 및 기대효과
□ 계량성과
❍ 콘텐츠 제작 건 수
- 자체 제작 : 총 1,600건 이상 * 각 언어(한‧영‧중‧일)별 최소 200건 이상 제작
- 제휴 수급 : 총 1,400건 이상
※ 최근 3년간 콘텐츠 제작 실적(건) 추이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0월말 기준) |
|||
자체제작 |
제휴수급 |
자체제작 |
제휴수급 |
자체제작 |
제휴수급 |
|
한국어 |
258 |
139 |
100 |
206 |
44 |
310 |
영어 |
0 |
125 |
171 |
90 |
99 |
195 |
중국어 |
0 |
125 |
171 |
90 |
99 |
166 |
일본어 |
0 |
125 |
171 |
90 |
99 |
166 |
합 계 |
258 |
514 |
613 |
476 |
341 |
837 |
* 2021년말 기준, 자체제작 1,259건 이상 및 제휴수급 563건 이상 추가(예정)
- 9 -
❍ 사용자 수 : 196,000명 이상 (’21년 대비 약 10% 증가)
❍ 이야기 재생 수 : 200,000건 이상 (’21년 대비 약 10% 증가)
❍ 앱 다운로드 수 : 26,000건 이상 (’21년 대비 약 10% 증가)
※ 최근 3년간 사용자 수, 이야기 재생 수, 앱 다운로드 수 추이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10월) |
사용자 수 |
131,183 |
89,468 |
149,179 |
이야기 재생 수 |
84,136 |
85,717 |
153,399 |
앱 다운로드 수 |
30,190 |
18,985 |
20,196 |
□ 비계량성과
❍ 오디 서비스 인지도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한 이용 활성화
❍ 다양한 니즈에 맞는 서비스 제공으로 국내여행의 만족도 제고에 기여
❍ 비대면 관광의 대안으로서 역할 확대 및 강화
4. 과업수행지침
□ 일반사항
❍ 본 과업내용서는「2022 오디(Odii) 홍보·마케팅 및 콘텐츠 확충 용역」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이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과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 주관사업자는 계약체결 후 7일 이내에 착수계를 제출하여야 하며, 과업수행에 필요한 현장대리인계, 참여연구진명단, 보안각서, 예정공정표, 예산내역서 등 제반서류를 포함한다.
❍ 본 제안요청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발주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중요사항은 과업내용에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소요되는 경미한 비용은 주관사업자가 부담한다.
❍ 주관사업자는 본 과업의 수행 중 취재단 선정 등 심사과정은 사업추진 시, 발주처의 사전 협의 후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행하여야 한다.
❍ 본 과업으로 인하여 주관사업자가 제3자에게 피해를 주었을 경우, 주관사업자가 손실 보상하여야 한다.
- 10 -
❍ 주관사업자는 과업수행 및 제출한 성과품에 대하여 전반적이고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
❍ 사업예산 정산 시 기획재정부 허가받은 원가계산업체의 원가 정산 보고서를 첨부한다. 단, 정산 관련 비용은 공사에서 부담한다.
❍ 본 과업을 통해 발생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공사에 귀속하도록 한다.
□ 수행인력
❍ 계약 체결 후 주관사업자는 사업관리 책임자(PM) 및 콘텐츠 관리자를 각각 별도로 임명하여 과업을 수행토록 한다.
❍ 착수보고서에 제시한 인력은 반드시 본 용역사업 수행에 참여하여야 하며, 용역에 참여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인력에 대한 평가가 계약상대자 선정에 중요한 요소인 경우 계약 해제 또는 해지의 사유가 될 수 있다.
❍ 과업수행 중 참여인력이 과업수행에 부적당하다고 인정될 때는 발주처가 즉시 교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주관사업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 용역수행 중 투입인력은의 퇴직, 질병 등 부득이한 사유발생 시에는 동급 이상의 인력으로 교체할 수 있다.
□ 과업보고
❍ 용역 착수보고, 중간보고, 최종보고 시행
산출물명 |
제출시기 |
주요내용 |
제출부수 |
사업수행 계획서 |
계약일로부터 7일 이내 |
○ 사업목적, 사업범위, 사업추진체계, 추진절차, 추진일정 ○ 용역공정예정표, 인력 및 장비투입계획서, 산출물 제출일정 ○ 사업추진에 따른 사업관리와 품질관리에 대한 방법 및 절차 ○ 기타 사업추진 중에 협조하여야 할 사항 등 |
문서 1부 |
주간 보고서 |
계약기간 중 매주 |
○ 주간 주요 추진사항 및 단계별 산출내역 ○ 투입 변경 현황(해당 시) ○ 차주 계획 및 계획 변경 사항 ○ 주요 의사결정 및 협조사항 ○ 기타 사항 |
문서 1부 |
월간 보고서 및 마케팅 인사이트 리포트 |
계약기간 중 매월 |
○ 서비스 관련 환경분석(트렌드 등) 및 실적 분석자료 ○ 월간 주요 추진사항 ○ 당초 계획 대비 진도율 및 성과 분석 ○ 향후 과업 추진계획 ○ 기타 사항 |
문서 1부 |
완료 보고서 |
검수완료 후 |
○ 제안서, 계약서, 사업수행계획서의 업무범위에 포함된 사항과 관련한 최종산출물 완료보고 ○ 사업 종료 시 전체 사업 및 기술수행결과 보고 |
문서 2부 |
기타보고 |
비정기 |
○ 위험관리보고, 변경보고, 실적‧성과 수시보고 등 ○ 기타 발주처 요청 시, 서면 또는 대면 보고 |
문서 1부 |
- 11 -
□ 보안사항
❍ 주관사업자는 과업 수행 시 필요한 보안대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보안책임자를 선임, 보안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여 발주처 감독원에게 이상 유무를 보고하여야 한다.
❍ 주관사업자는 착수신고서와 함께 대표자 및 과업수행자 전원 보안 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모든 성과품은 주관사업자가 소유 또는 임의 복사하거나 외부로 유출 하여서는 안 되며, 과업폐기물은 반드시 소각 또는 파쇄 처리하여야 한다.
❍ 주관사업자는 기타 보안상 결함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보안대책 불이행으로 발생되는 모든 책임은 수급인이 져야 한다.
- 12 -